본문 바로가기

2011년도 사진3194

설중에 만난 앉은부채 설중에 만난 앉은부채 외떡잎식물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의 응달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짧고 끈 모양의 뿌리가 나와 사방으로 퍼지며, 줄기는 없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 나오고 길이 30∼40cm의 둥근 심장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불쾌한 냄새가 나고 잎자루가.. 2011. 3. 2.
큰개불알풀 큰개불알풀 길이 10~30cm이고 줄기의 밑부분은 옆으로 자라거나 비스듬히 서고 윗부분은 곧게서며 가지에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갈라진다. 잎은 줄기 밑 부분에서는 마주나고 윗부분에서는 어긋나며 삼각형 또는 달걀모양의 삼각형이고 길이 1∼2cm, 너비 1∼2cm이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잎 가장자리.. 2011. 3. 2.
땅끝마을 해맞이 땅끝마을 해맞이 땅끝마을은 우리나라 국토 육지의 최남단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땅끝마을 해맞이 촬영장소는 갈두여객터미널 매표소(전남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1127-4번지)옆이다. 자동차로 찾아가는 방법은 네비에 갈두여객터미널 매표소 주소를 입력하면 갈두여객터미널 매표소앞으로 안내하여 .. 2011. 3. 1.
땅끝마을 땅끝마을 우리나라 국토 육지의 최남단 지역 2011. 3. 1.
소화묘원에서 바라본 검단산. 두물머리. 양수리. 예봉산. 운길산 [2011.02.28]소화묘원에서 바라본 검단산. 두물머리. 양수리. 예봉산. 운길산 검단산 정상 모습이다. 정상에는 사람들의 모습도 보인다. 두물머리 전체모습도 보인다. 양수리 전체 모습이다. 예봉산 정상 모습이다. 운길산 정상 모습이다. 2011. 2. 28.
오늘의 천마산 모습과 너도바람꽃 오늘의 천마산 모습과 너도바람꽃 어제 내린비로 너도바람꽃이 자리를 지키고 있을까 걱정이 된다. 오전에는 날씨가 계속하여 흐리면서 진눈깨비까지 내린다. 12시경에 오남리에 도착하여, 점심을 따뜻한 것으로 하고, 기행 탐사를 시작한다. 바람은 거세게 불고 날씨는 흐리고 추위가 느껴진다. 계곡.. 2011. 2. 28.
봄마중의 다대포해수욕장 해넘이 봄마중의 다대포해수욕장 해넘이 봄 날씨로 한낮에는 더위까지 느끼는 날씨에 좀얇은 점퍼차림으로 찾아간곳 다대포해수욕장.... 오후들면서 바람도 게세지고 모래바람도 불어온다. 카메라를 메고 바닷가로 향하는데..... 더욱 거세지는 모래바람....너무 얄밑게 느껴진다. 오랫만에 다시 찾은 다대포.. 2011. 2. 28.
06 2011. 2. 27.
클레로 덴드롬(Coerodendrum ) 클레로 덴드롬(Coerodendrum ) 덴드롱의 정식명칭은 클레로덴드롬 톰소니애(Coerodendrum thomsoniae)으로 흔히 덴드롱으로 불리고 있다. 원산지: 열대 서 아프리카 마편초과 상록관목 이 나무의 학명은 그리스 어로 "기회 (chance)" 라는 뜻을 가진 클로레스(kleros)와 나무 라는 뜻을 가진 덴드론(dendron)이라는 단어.. 2011. 2. 27.
04 2011. 2. 27.
03 2011. 2. 27.
02 부영과 금황성 부영과 금황성 2011. 2. 27.
01 2011. 2. 27.
후피향나무 후피향나무 차나무과(茶―科 Theaceae)에 속하는 상록교목. 키는 1~15m 정도 자란다. 수피(樹皮)는 흑갈색으로 매끈하다. 잎은 어긋나지만 가지 끝에서는 무리져 있는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짧은 잎자루는 붉은빛이 돈다. 황백색의 꽃은 7월경 잎겨드랑이에서 아래로 처져 핀다. 꽃받침잎·꽃잎 모두 5.. 2011. 2. 27.
하와이무궁화 하와이무궁화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의 상록 관목 줄기 높이 2∼5m(온실에서는 1∼2m)이며, 가지를 많이 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 윗부분에는 톱니가 있다. 잎은 쳐지지 않고 진한 녹색으로 약간 흑색이 섞여 있다. 여름에 새로 난 가지에 꽃잎이 두껍고 광택이 있.. 2011. 2. 27.
칼라디움 칼라디움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관엽 식물로 토란과 비슷하나 높이는 70cm 정도이며, 잎은 달걀 모양 또는 방패 모양이고 여러 가지 무늬가 있다. 꽃은 5~6월에 육수(肉穗)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장과(漿果)로 10월에 익는다. 관상용이고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2011. 2. 27.
철쭉(Rhododendron) 철쭉(Rhododendron) 높이 2~5m 정도로 자라는 줄기는 굵은 가지가 많이 나오고 수피는 회백색 또는 회색으로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가지 끝에서는 4~5개가 모여 달리고 잎몸은 도란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앞면은 녹색을 띠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5월 잎과 함께 피.. 2011. 2. 27.
쟈스민 꽃(Jasmine Flower) 쟈스민 꽃(Jasmine Flower) 쟈스민은 '꽃 향유의 왕' 으로 불리며, 사랑의 묘약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었으며, 인도에서 향고(고약)제와 의식용 으로 널리 사용되었고, 초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방향성이 있는 흰꽃을 피운다 2011. 2. 27.
에리스리나 에리스리나 우리나라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식물인데 콩과의 낙엽성관목으로 남아메리카가 원산지 이다 2011. 2. 27.
야래향자스민(Cestrum nocturnum) 야래향자스민(Cestrum nocturnum) 원산지는 남미, 서인도제도 이 꽃은 꽃을 보지 않고도 개화 했음을 알 수 있을 정도로 향기가 매혹적이다. 2011. 2. 27.
알로카시아 알로카시아 천남성과 알로카시아속의 여러해살이 관엽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중남미, 동남아시아에 많이 분포한다. 독성이 강한 마크로라이자, 보르네오산으로 잎이 삼각형이며 깊게 갈라진 산데리아나 따위가 있다 2011. 2. 27.
안스리움 안스리움 천남성과(天南星科 Araceae)에 속하며 600여 종(種)의 아메리카 열대산 풀로 이루어진 속. 많은 종들이 관엽식물이다. 몇 종은 꽃이 화려하고 오랫동안 피기 때문에 널리 재배되어 출하된다. 2011. 2. 27.
부룬펠지아 부룬펠지아 가지과의 상록 소관목으로 아메리카가 원산지며 약 30종이 있다. 꽃은 깔때기 모양으로 크고 아름다우며 향기가 있고, 취산 꽃차례로 핀다. 통꽃으로 5열로 갈라지고 보라색으로 피었다가 흰색으로 변한다 2011. 2. 27.
부겐베리아 부겐베리아 분꽃과에 속하는 덩굴 식물 2011. 2. 27.
반다 [Vanda] 반다 [Vanda] 난초과(蘭草科 Orchidaceae)에 속하며 약 70종(種)의 화려한 색을 띤 난으로 이루어진 속. 아시아 동부에서 오스트레일리아에 걸쳐 서식한다. 대부분의 종들은 길고 강한 줄기에 끈처럼 생긴 잎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달려 있다. 이 속에 속하는 종들끼리, 또는 난초과의 다른 속과의 교배를 통.. 2011. 2. 27.
레몬 (식물) [lemon] 레몬 (식물) [lemon] 운향과(芸香科 Rutaceae)의 소교목 또는 관목 및 그 열매. 가지치기를 하지 않을 경우 가지가 넓게 퍼지는 관목이 되거나, 키가 3~6m인 소교목이 된다. 어린 잎은 선명한 붉은색을 띠나 점차 초록색으로 변한다. 몇몇 품종의 어린 가지는 각이 진 것도 있으며 잎겨드랑이에 날카로운 가시.. 2011. 2. 27.
레몬 열매 레몬 열매 2011. 2. 27.
다투라 (엔젤트럼펫) 다투라 (엔젤트럼펫) 남아메리카 원산의 상록 저목이며 천사의 나팔꽃으로 불린다. 나팔 모양의 긴 꽃이 항상 겸손한 마음으로 아래를 향해서 핀다. 저녁 8시경부터 꽃잎을 활짝 펴고 달콤한 향기를 발산한다 2011. 2. 27.
꽃기린 (흰색) 꽃기린 (흰색) 줄기는 다육질로 직경이 1~2cm정도이며, 탁엽이 변화된 날카로운 가시가 줄기전체에 있으며 낮은 나무모영으로 자란다. 추위에 강해 3~5℃에서 월동이 가능하나,겨울철에도 개화를 계속시키고자 할때에는 10℃이상 보온이 필요하고, 주년개화성이 강하나 빛이 부족하거나 저온과 건조에.. 2011. 2. 27.
황새냉이꽃 황새냉이꽃 2011.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