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년도 사진3194

극락조화 [極樂鳥花] 극락조화 [極樂鳥花] 외떡잎식물 생강목 파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m 내외로 자란다. 땅속줄기는 짧아서 땅 위에는 나오지 못한다. 잎은 모두 뿌리에서 나와 길이 40cm, 나비 15cm 내외가 되고, 짙은 녹색으로 긴 타원형 또는 긴 달걀 모양 타원형이며, 바깥쪽으로 굽는 것이 많다. 꽃줄기는 잎과 비슷.. 2011. 3. 9.
골담초 골담초 수고 2m이고 수피는 회갈색으로 가지에 모자지고 위를 향하며 사방으로 늘어져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기수 1회우상복엽으로 작은잎이 2쌍씩 붙어 있고 턱잎이 변한 가시가 1쌍씩 있다. 잎의 앞면은 진한 녹색으로 윤택이 있으며 뒷면은 회색빛을 띤 녹색이다. 꽃은 5월에 피고 노란색의 총상화.. 2011. 3. 9.
개불알풀 개불알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두해살이풀. 길가의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5∼30cm이다. 부드럽고 짧은 털이 나며,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 옆으로 자라거나 비스듬히 선다. 잎은 밑쪽에서는 마주나고 위쪽에서는 어긋나며 둥근 달걀 모양이고 2∼3쌍의 톱니가 있다. 밑쪽의 것은 짧은 잎.. 2011. 3. 9.
봄꽃을 찾아서 큰개불알풀. 개불알풀. 별꽃과 놀아보기 봄꽃을 찾아서 큰개불알풀. 개불알풀. 별꽃과 놀아보기 봄꽃을 볼수있다라는 생각만 해도 즐겁고 행복하다. 들뜬 마음으로 봄꽃을 보기 위하여 나들이를 나선다. 이젠 봄꽃들이 양지바른 곳이면 어김없이 꽃을 피우며,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고 있다. 큰개불알풀은 겨울철에 경주에서 만났는데....얼마.. 2011. 3. 8.
수리산 변산바람꽃 자생지를 찾아서 수리산 변산바람꽃 자생지를 찾아서 병목안삼거리공원에는 많은 사람들이 등산하기 위해서 왕래가 많다. 수리산 변산바람꽃 자생지를 탐방하기 위하여, 도착한 주차장옆의 하천에는 버들강아지가 꽃을 피우고 반갑게 맞이하여 준다. 계곡을 따라 올라가면 변산바람꽃이 반겨주는 곳이다. 계곡은 아.. 2011. 3. 8.
새만금방조제 해맞이 새만금방조제 해맞이 봄맞이의 아름다운 꽃들을 보면서 나들이를 하였던 곳...... 새만금방조제는 지금도 단장을 하느라 공사중이다. 봄 나들이 2일째 아침 일찍 일어나..... 봄맞이 꽃들을 볼려고 출발하여 가는데...... 구름속으로 붉게 물들어 오는 하늘을 보노라니..... 구름속으로 얼굴을 내미는 햇님.. 2011. 3. 8.
크로커스 [crocus] (봄에 피는 종) 크로커스 [crocus] (봄에 피는 종) 같은 말 : 사프란[Saffron] (가을에 피는 종) 외떡잎식물 백합목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온난하고 비가 적은 곳에서 잘 자란다. 높이 약 15cm이다. 알뿌리는 지름 3cm로 납작한 공 모양이다. 잎은 알뿌리 끝에 모여나며 줄 모양이고 꽃이 진 다음 자란다. 끝이 점차 뾰족해진.. 2011. 3. 7.
오구나무 열매 오구나무 열매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낙엽교목 중국 원산이며 종자에서 밀랍과 기름을 짜기 위하여 남쪽에서 심었으나 지금은 관상용으로 심는다. 높이 10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네모꼴의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없고 뒷면은 흰빛이 돈다. 꽃은 양성화이며 6.. 2011. 3. 7.
설강화(雪降花) 설강화(雪降花) 갈란투스(Galanthus, 그리스어: gala "우유", anthos "꽃")는 수선화과의 알뿌리 초본 식물의 한 작은 속으로, 약 20개의 종을 포함한다. 스노우드롭(Snowdrop), 설강화(雪降花)라고도 한다 2011. 3. 7.
복수초 [福壽草] 복수초 [福壽草]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원일초·설련화·얼음새꽃이라고도 한다. 산지 숲 속 그늘에서 자란다. 높이 10∼30cm이다. 뿌리줄기가 짧고 굵으며 흑갈색의 잔뿌리가 많이 나온다. 줄기는 윗부분에서 갈라지며 털이 없거나 밑부분의 잎은 막질.. 2011. 3. 7.
마취목 [馬醉木] 마취목 [馬醉木]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상록관목 일본이 원산이며 주로 관상용으로 심는다. 잎은 어긋나고 딱딱하며 거꾸로 선 바소꼴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이른 봄에 단지 모양의 꽃이 흰색이 총상꽃차례[總狀花序]로 핀다. 열매는 삭과(?果)이고 둥글며 지름 5∼6mm로서 .. 2011. 3. 7.
납매 [蠟梅/臘梅] 납매 [蠟梅/臘梅] 납매과의 낙엽교목. 납매를 당매(唐梅)라고도 한다. 중국 원산이며 관상수로 널리 심는다. 줄기는 뭉쳐나며 높이는 2∼4m이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마주나고 길이 7∼10cm이다. 표면은 꺼칠꺼칠하고 잎자루가 짧으며, 잎 끝은 뾰족하고 얇지만 딱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1∼2월.. 2011. 3. 7.
2011.03.05일의 너도바람꽃 2011.03.05일의 너도바람꽃 2011. 3. 6.
양지 바른 곳에는 괭이밥도 꽃을 피우고 있다. 양지 바른 곳에는 괭이밥도 꽃을 피우고 있다. 포근한 양지바른 곳에 노란꽃을 피우는 녀석...... 작아서 가까이 다가서 자세히 보니 괭이밥이다.... 올해 처음으로 만난 녀석.... 이 녀석과 즐거운 시간을 같이하여 보았다. 2011. 3. 6.
채석강에서 바라보는 해넘이 채석강에서 바라보는 해넘이 오랫만에 찾아온 곳 채석강.. 채석강은 옛모습 그대로를 보여주고 있는데.... 주변은 개발로 많이 변해있다. 그것도 아름다운 채석강의 모습을 뒤로하면서.....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방파제를 채석강 가까이 설치할 할필요가 있는지.... 반대편으로 뒤돌아가서 채석강으.. 2011. 3. 6.
후르츠 세이지 후르츠 세이지 남부유럽이 원산지 2011. 3. 5.
학자스민 학자스민 쌍떡잎식물 물푸레나무과 덩굴성 상록관목 중국 남부 아열대 지방(운남성)이 원산 2011. 3. 5.
파인애플세이지 파인애플세이지 원산지는 맥시코이며 꿀풀과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둥근 잎에서 파인애플 같은 향기가 나며 가느다란 빨간색감의 꽃이 피며 주로 포플리나 절화로 꽃다발 등에 쓰이고 있다고 합니다. 2011. 3. 5.
제라늄 제라늄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쥐손이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남아프리카 원산이며 온실에서 재배한다. 줄기는 높이 30∼50cm이고 육질이다. 잎은 자루가 길고 심장 모양 원형이며 극히 얕게 패어 있는 것과 더불어 톱니가 있다. 꽃은 여름에 피고 긴 꽃줄기 끝에 자루가 있으며 산형(傘形)으로 달린다. 꽃.. 2011. 3. 5.
옐로우자스민 옐로우자스민 온대 및 열대 아메리카 원산으로 캐롤라이나자스민, 저녁나팔꽃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덩굴성으로 타고 오를만한 적절한 나무가 있다면 3~6m까지 자랍니다. 2011. 3. 5.
역고드름 역고드름 2011.02.23일 날씨가 포근하여 봄기운을 느끼기에 충분한 날이다. 오후들어서 봄나들이를 나서본다. 들에는 많은 식물들이 고개를 들고 있는 것이 보인다. 햇볕이 없는 작은 다리밑을 지나노라니....... 역고드름이 보인다..... 포근한 날씨지만 역고드름이 있는 곳은 아직도 추운가보다. 2011. 3. 4.
양지 바른곳에서 추운봄날에 네발나비를 만나다. 양지 바른곳에서 추운 봄날에 네발나비를 만나다. 봄소식이 궁금하여 나들이를 나셨다. 2011년 2월 23일 오후시간이 되면서 양지 바른곳은 포근함까지 느껴진다. 버들강아지는 꽃망울을 터뜨리고 있고, 많은 식물들도 파란잎들을 올리고 있다. 바람 한점없는 양지바른곳을 보노라니....네발나비가 날개.. 2011. 3. 4.
태안반도의 숨겨진 일몰 명소 먼동해수욕장의 꼬깔섬 태안반도의 숨겨진 일몰 명소 먼동해수욕장의 꼬깔섬 먼동해수욕장은 드라마 먼동을 촬영하면서 유명해진곳이다. 어릴적에 이곳은 인적이 없는 곳이였다. 또한 이곳의 해넘이는 여러 각도에서 담을수 있어서 다양한 작품을 얻을수 있는 곳이다. 꼬깔섬과 소나무섬사이로 떨어지는 해넘이 오메가도 .. 2011. 3. 3.
채석강(彩石江) 채석강(彩石江) 전북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301-1외 채석강은 중국 당나라 시인 이태백이 배를 타고 술을 마시다가 강물에 뜬 달을 잡으려다 빠졌다는 채석강과 흡사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채석강은 변산반도 격포항에서 닭이봉 일대를 포함한 1.5㎞의 층암절벽과 바다를 말한다. 흔히 강으로 오.. 2011. 3. 3.
내소사 [來蘇寺] 내소사 [來蘇寺]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 변산 반도 남단에 있는 절. 신라의 혜구 두타(惠丘頭陀)가 이곳에 세운 소래사(蘇來寺)를 후에 고쳐 지은 것으로, 조선 인조 때 청영 대사(淸映大師)가 지은 대웅전은 조선 중기 사찰 건축의 대표적 작품으로 꼽힌다. 내소사에는 지금도 호자덩굴 열매가.. 2011. 3. 3.
지장암 지장암 전라북도 부안군에 능가산 내소사의 암자 2011. 3. 3.
신두리해수욕장 신두리해수욕장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에 위치한 해수욕장 규사질의 고운 모래로 이루어진 백사장이 넓게 펼쳐져 있으며, 물이 맑고 깨끗하다. 백사장 길이는 3km, 폭은 200m 정도이다. 아직 피서객의 발길이 많지 않아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으며, 수온이 높고 경사도가 완만하여 가족 단.. 2011. 3. 3.
무갑사 무갑사 경기 광주시 초월읍 무갑리 224-2번지이며, 무갑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2011. 3. 3.
무갑산에도 아름다운 눈꽃이 피였다. 무갑산에도 아름다운 눈꽃이 피였다. 3월 1일 아침 일찍 무갑산으로 향한다. 도로는 진눈깨비로 한가하다. 무갑산입구에 도착하니, 이제는 진눈깨비가 그치고 하늘엔 구름만 가득하다. 등산로로 진입하면서 정상쪽으로 올라가는데, 온통 눈꽃을 피우며 장관을 이루고 있다. 자연의 아름다움을 어찌 표.. 2011. 3. 2.
남한산성의 아름다운 눈꽃 남한산성의 아름다운 눈꽃 3월 1일 아침일찍부터 내린 진눈깨비를 바라보며, 나들이에 나서보았다. 남한산성안에는 눈꽃으로 아름다운을 이루며 장관을 이루고 있다. 많은분들이 남한산성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며, 감탄사를 연발하고 있다. 그 아름다움을 많은분들이랑 같이 하였으면 얼마나 좋을까 .. 2011. 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