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자연유산 아름다운 제주도 야생화 및 풍경 기행문

세계자연유산 아름다운 제주도 03월 (03월 02일)

by 류병구 2021. 12. 26.
728x90

세계자연유산 아름다운 제주도에서 03월에 볼 수 있는 야생화 :
가는잎할미꽃(노랑), 개감수, 개구리갓, 갯무우, 갯버들, 갯쑥부쟁이, 광대나물, 길마가지나무, 까마귀밥나무,
나도물통이, 노루귀, 노루귀 녹화,
다닥냉이, 둥근빗살괴불주머니, 들개미자리,
모래냉이, 민둥뫼제비꽃,
반디지치, 방가지똥, 벋음씀바귀, 벚꽃, 변산바람꽃 군락, 백서향, 보라별꽃, 복수초 군락, 붓순나무,
사술괭이눈, 산괭이눈, 산자고, 삼지닥나무, 세복수초가 군락, 새덕이, 솜나물, 시로미 수꽃, 시로미 암꽃,
암대극, 애기석잠풀, 왜현호색, 유럽단추쑥, 유채꽃, 은빛세복수초,
자운영 흰꽃, 장딸기, 제주골무꽃, 제주산딸기, 제주산버들, 조록나무, 좀전동싸리, 좀현호색 흰꽃, 중의무릇,
청보리밭, 큰괭이밥, 탐라현호색, 펠리온나무(제주물풍뎅이) 등
할미꽃, 현호색, 홍노도라지, 흰괭이눈, 흰새덕이 등

 

세계자연유산 아름다운 제주도 03월 (03월 02일)

 

사술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var. tetrandrum (Hara) Y.Lee
여러해살이풀로 제주도에 자란다.
한국식물연구원보 제4호에 의하면 산괭이눈의 변종으로 2004년 이영노 박사에 의해 학계에 보고되었다
산괭이 눈의 수술이 8개, 사술괭이 눈은 4개이나 5-6개짜리도 보인다.
꽃은 4개의 꽃받침이 있고 꽃줄기는 직립한다.
잎은 마주나며 표면에 털이 있고 심장형이며 길이 1cm 정도이며, 폭 1.5cm이며 톱니가 있고, 길이 3cm 정도의 잎자루가 있다.
무성지의 줄기에도 털이 많다.
열매는 둥근 삭과이며, 씨는 둥근 모양이고 그물 무늬가 있다.

 

산괭이눈
학명은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이다.
범의귀과 > 괭이눈속 여러해살이풀이다.
꽃대는 길이 10-15cm이다.
근생엽은 3-4개이고 둥글며 심장저이고 길이 5-20mm, 폭 8-30m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이 길며 표면에 털이 있다.
꽃대는 길이 10-15cm로서 3-4개의 능선이 있고 2-3개의 잎이 어긋나기하며 꽃은 연한 녹색이고 화경끝에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편원형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퍼진다.
수술은 8개이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암술대는 2개가 서로 젖혀진다.
삭과는 처음에는 2개의 뿔같지만 4개로 갈라져서 지름이 5mm에 달하며 밑부분에 갈색종자가 있다.
종자는 넓은 달걀모양이고 1개의 능선이 있으며 길이 0.6mm정도로서 전체에 잔돌기가 있다.
줄기에 1-2개의 잎이 어긋나며 꽃이 진 다음 지면 가까이에 길이 2-3mm의 살눈이 달린다.

산괭이눈 및 큰꽃송이이끼

산괭이눈 및 큰꽃송이이끼 및 나무이끼

큰꽃송이이끼
학명은 Rhodobryum giganteum (SCHWAEGR) PAR이다.
산 속의 부식토나 썩은 나무 위에 군락을 만든다.
식물체는 크며, 암록색이고 아름답다.
줄기 중 긴 것은 길이가 6~8cm 까지 자라며 중부 이하에서는 비 늘 모양인 적자색의 작은 잎이 붙는다.
땅 속에는 단단하고 긴 가는 줄기가 있으며 갈색인 헛뿌리로 싸여 있다.
줄기의 끝에는 큰 잎이 마치 꽃모양으로 배열되며 줄기의 밑에는 잎이 비 늘 모양으로 줄기에 밀착되어 있다.
하부의 잎은 작은 피침형인데 비하여 상부의 잎은 긴 알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에는 뚜렷하지 않은 현이 있으며 잎 상반부의 가장자리에는 2개로 된 뾰족한 치돌기가 있다.
잎 중앙 세포는 육각형이며 길이는 65~120μ 이고 두꺼운 세포벽에는 급히 오므라들어간 부분이 여러 곳 있다.
암수딴그루이다.
포자체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
삭은 긴 원통형이며 거의 상칭인데 길이는 약 8mm 이며 그 끝이 밑으로 처지거나 수평인 경우가 많다.
삭병은 1~3개가 정생하며 상부는 황갈색이고 하부는 적갈색인데 길이는 6~8mm 이다.
식물체는 크며, 잎 가장 자리의 치돌기는 쌍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