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8년도 사진1072

함백산 일출 2017년 09월 03일 함백산 일출 2018. 1. 20.
대청도 일출 2017년 08월 31일 대청도 일출 2018. 1. 20.
대청도 풍경 2017년 08월 30일 대청도 풍경 2018. 1. 20.
지리산 풍경 2017년 08월 27일 지리산 풍경 2018. 1. 20.
알락광대꽃벼룩 2017년 08월 10일 알락광대꽃벼룩 꽃벼룩과에 속한 곤충이다. 학명 Hoshihananomia pirika Kono, 1935 이다. 체장은 11mm 정도이다. 딱지날개에 백색의 작은 무늬가 있다. 복판의 털은 백색이고 딱지날개의 기부에 앞가슴등판의 뒷가두리에 접하는 곳에는 백색 무늬가 없다. 미절판은 미절의 3배보다 .. 2018. 1. 19.
2017년 08월 05일 백두산 06 2017년 08월 05일 백두산 2018. 1. 18.
2017년 08월 03일 백두산 04 2017년 08월 03일 백두산 2018. 1. 17.
2017년 08월 03일 백두산 03 2017년 08월 03일 백두산 2018. 1. 17.
2017년 08월 03일 백두산 02 2017년 08월 03일 백두산 2018. 1. 17.
2017년 08월 03일 백두산 01 2017년 08월 03일 백두산 2018. 1. 17.
백두산 03 2017년 08월 02일 백두산 ? 2018. 1. 16.
백두산 ? 2017년 08월 02일 백두산 ? 2018. 1. 16.
가지산 풍경 2017년 07월 28일 가지산 풍경 2018. 1. 16.
석병산 풍경 2017년 07월 26일 석병산 풍경 2018. 1. 15.
지리산 노고단 풍경 2017년 07월 22일 지리산 노고단 풍경 2018. 1. 15.
번행초 흰꽃 2017년 07월14일 제주도 번행초 흰꽃 높이 60cm 정도로 지면을 기듯이 자라는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털은 없고 사마귀같은 돌기가 많이 난다. 잎과 더불어 다육질이다.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세모진 난형으로 표면이 우둘투둘하다. 개화기는 4월에서 10월까지 계속 피는데 흔히 제주도.. 2018. 1. 13.
씨눈난초 2017년 07월14일 제주도 씨눈난초 난초과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 Herminium lanceum var. longicrure (C.Wright) H. Hara 이다. 잎은 넓은 선형으로 길이 8-20cm, 폭 5-10mm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은 6-8월에 피며 연한 녹색이고 이삭꽃차례는 길이 5-15cm로서 꽃이 많이 달리며 포는 난상 삼각형으로서 1맥이 있.. 2018. 1. 13.
백운란 2017년 07월14일 제주도 백운란 난초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2~4개이고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둥글다. 7월에 1~4송이의 흰 꽃이 핀다. 우리나라의 백운산, 내장산 등지에서 자란다. 학명은 Vexillabium yakushimense var. nakaianum이다. 2018. 1. 13.
자주꿩의다리 생태형 추정 2017년 07월14일 제주도 자주꿩의다리 생태형 추정 2018. 1. 13.
실꽃풀 2017년 07월14일 제주도 실꽃풀 반상록성 또는 상록성의 다년초이다. 잎은 근생엽과 줄기잎이 있으며 밑부분에서는 모여나기하고 근생엽은 거꿀피침모양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가 다소 물결모양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3-8cm, 폭 1.5-3cm로서 엽병의 길이가 불규칙하고 줄.. 2018. 1. 13.
백운란 2017년 07월14일 제주도 백운란 난초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2~4개이고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둥글다. 7월에 1~4송이의 흰 꽃이 핀다. 우리나라의 백운산, 내장산 등지에서 자란다. 학명은 Vexillabium yakushimense var. nakaianum이다. 2018. 1. 13.
금창초 변이 2017년 07월14일 제주도 금창초 변이 꿀풀과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 Ajuga decumbens Thunb. 이다. 줄기는 옆으로 뻗고, 높이 5-15cm다. 뿌리잎은 여러 장이 모여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마주난다. 꽃은 4-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가 돌려나며, 분홍색 또는 자주색이다. 꽃받침.. 2018. 1. 13.
흑박주가리 2017년 07월14일 제주도 흑박주가리 쌍떡잎식물 용담목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검정박주가리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길이 40∼100cm이다. 포기 전체에 누운 털이 난다. 줄기의 아랫부분은 곧게 서고 윗부분은 덩굴 모양으로 벋는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로서 .. 2018. 1. 13.
물부추 2017년 07월14일 제주도 물부추 물부추과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 Isoetes japonica A. Braun 이다. 땅속줄기는 검은색으로 지름 1-5cm의 덩이로 되고 밑이 3갈래로 갈라져 홈이 지며 이곳에서 흰 뿌리가 난다. 포자잎은 모여 나고, 곧게 서며, 침형, 길이 10-30cm, 전체는 짙은 녹색이고 밑부분은 난형.. 2018. 1. 13.
호장근 2017년 07월14일 제주도 호장근 마디풀과 잎은 어긋나고 엽병이 있으며 길이 6-15cm로서 넓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짧은 점첨두이며 절저이고 톱니가 없다. 과실은 수과로서 세모난 넓은 난형이고 길이 2-2.5mm로서 암갈색의 윤채가 있다. 꽃은 이가화로서 6-8월에 피고 백색 또는 담홍색.. 2018. 1. 13.
한라개승마 2017년 07월14일 제주도 한라개승마 높이 15cm이고 잎은 2회우상 3출엽이고 넓은 삼각모양이다. 갈라진 잎조각은 어긋나며 달걀모양으로 제일 윗부분의 잎이 가장 크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거치가 있다. 꽃은 8월에 피고 노란빛을 띤 흰색으로 복총상화서로 피며 줄기의 끝부분.. 2018. 1. 13.
줄사철나무 2017년 07월14일 제주도 줄사철나무 노박덩굴과의 상록 활엽 덩굴나무. 높이는 10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다. 5~6월에 녹색 꽃이 취산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삭과로 10월에 익는다. 관상용이고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2018. 1. 13.
좀꽝꽝나무 2017년 07월14일 제주도 좀꽝꽝나무 감탕나무과 상록활엽관목이다. 학명 Ilex crenata var. microphylla Maxim. ex Matsum. 이다.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무성한 수형을 만들고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일년생가지에 잔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촘촘히 달리며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예두.. 2018. 1. 13.
애기솔나물 2017년 07월14일 제주도 애기솔나물 꼭두서닛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0~20cm이며, 잎은 선 모양으로 원줄기에서 여덟 개씩, 가지에서는 네 개 또는 여섯 개씩 돌려난다. 6~7월에 노란 꽃이 원추(圓錐) 꽃차례로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두 개씩 열린다. 우리나라 한라산에 분포한다. 2018. 1. 13.
백리향 [百里香] 2017년 07월14일 제주도 백리향 [百里香]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낙엽 반관목. 높은 산꼭대기나 바닷가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높이 3∼15cm이다. 원줄기는 땅위로 퍼져나가고 어린 가지가 비스듬히 서며 향기가 난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거나 바소꼴이며 길이 5∼12mm, 나비 3.. 2018.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