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3년도 사진1923

낙안읍성 2013년 11월 02일 낙안읍성 낙안읍성(樂安邑城)은 조선시대의 읍성이다. 전남 순천시 낙안면 충민길 30 (동내리 437-1)에 있다. 주차시설이 있다. 1908년까지 존속하였던 낙안군의 중심지였다. 임경업 장군이 쌓았다고 전해지는 성곽과 내부 마을이 원형에 가깝게 보존되어 있어 역사적 가치가 .. 2013. 11. 6.
광화문 야경 2013년 10월 31일 광화문 야경 2013. 11. 4.
광화문 분수대 2013년 10월 31일 광화문 분수대 2013. 11. 4.
광화문 2013년 10월 31일 광화문 2013. 11. 4.
경복궁의 향원정 2013년 10월 31일 경복궁의 향원정 2013. 11. 4.
꽃사과 2013년 10월 31일 경복궁의 꽃사과 장미과(薔薇科 Rosaceae) 사과나무속(一屬 Malus)에 속하는 소교목인 산사나무의 열매. '산사'라고도 한다. 아시아와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흔히 심는 사과나무보다는 딱딱하고 훨씬 작으며 가시도 더 많다. 맛은 시큼하지만 색깔이 선명하고 적당한 단맛.. 2013. 11. 4.
경복궁의 태원전 2013년 10월 31일 경복궁의 태원전 2013. 11. 4.
경복궁의 집옥재 2013년 10월 31일 경복궁의 집옥재 2013. 11. 4.
경복궁의 단풍나무 2013년 10월 31일 경복궁의 단풍나무 2013. 11. 4.
경복궁의 근정전 2013년 10월 31일 경복궁의 근정전 2013. 11. 4.
경복궁의 국립민속박물관 2013년 10월 31일 경복궁의 국립민속박물관 2013. 11. 4.
경복궁의 경회루 2013년 10월 31일 경복궁의 경회루 2013. 11. 4.
경복궁 장독대 2013년 10월 31일 경복궁 장독대 2013. 11. 4.
개나리 2013년 10월 31일 개나리 물푸레나무과(―科 Ole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 우리나라 거의 모든 곳에서 자란다. 키는 3m 정도이며 많은 줄기가 모여나고 줄기는 초록색을 띠나 자라면서 회색빛이 도는 흙색이 되며, 끝이 점점 아래로 휘어진다. 잎은 타원형으로 마주나고 잎가장자리는 톱니처럼.. 2013. 11. 4.
용유도의 저녁노을과 해무 2013년 10월 28일 용유도의 저녁노을과 해무 용유해변은 인천 중구 남북동 937-13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용유해변이 있는 용유도는 섬의 형태가 멀리서 보면 마치 용이 수영하는 모양과 같다 하여 용유도라 붙여 졌다. 용유해변은 용유면 바로 앞의 바닷가를 말하는데, 숲과 해안선이 잘 발달.. 2013. 11. 1.
꼬리겨우살이 2013년 10월 26일 꼬리겨우살이 쌍떡잎식물 단향목 겨우살이과의 낙엽 기생 관목. 참나무와 밤나무 가지에 기생한다. 가지는 곁가지로 갈라지며, 자줏빛을 띤 갈색으로 윤이 나는데 월동 뒤에 잿빛 부분의 겉껍질이 벗겨진다. 잎은 마주나며 모양은 주걱 같은 긴 타원형으로 끝은 둥글고 밑.. 2013. 11. 1.
겨우살이 겨우살이가 아름답게 반겨주는 안반덕의 가을 풍경도 담아 본다. 2013년 10월 26일 겨우살이 쌍떡잎식물 단향목 겨우살이과의 상록 기생관목. 참나무·물오리나무·밤나무·팽나무 등에 기생한다. 둥지같이 둥글게 자라 지름이 1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다육질이며 바소꼴로 .. 2013. 11. 1.
인동 2013년 10월 26일 인동 줄기는 적갈색으로 오른쪽으로 감고 올라가고 어린가지는 황갈색의 털이 많고 속이 비어있다. 잎은 마주나고 장타원형으로 예두, 원저이다. 잎자루에는 털이 있고 잎에는 털이 없어지거나 뒷면 일부에만 남는다.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뿌리 쪽의 잎은 결각이 나타.. 2013. 11. 1.
매봉산의 아름다운 자작나무숲 파노라마 2013년 10월 26일 매봉산의 아름다운 자작나무숲 파노라마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과 화전동에 걸쳐 있는 산으로써 "매처럼 영특하게 생겼다"하여 매봉산이라고 부른다. 높이는 1,303m이다. 태백산맥(太白山脈)의 여맥인 중앙산맥(中央山脈) 중의 한 산으로, 서북쪽에 대덕산(大德山, 1,307m), 서.. 2013. 11. 1.
매봉산의 아름다운 자작나무숲 2013년 10월 26일 매봉산의 아름다운 자작나무숲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과 화전동에 걸쳐 있는 산으로써 "매처럼 영특하게 생겼다"하여 매봉산이라고 부른다. 높이는 1,303m이다. 태백산맥(太白山脈)의 여맥인 중앙산맥(中央山脈) 중의 한 산으로, 서북쪽에 대덕산(大德山, 1,307m), 서남쪽에 함.. 2013. 11. 1.
매봉산에서 바라보는 운해와 일출 풍경 2편 2013년 10월 26일 매봉산에서 바라보는 운해와 일출 풍경 2편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과 화전동에 걸쳐 있는 산으로써 "매처럼 영특하게 생겼다"하여 매봉산이라고 부른다. 높이는 1,303m이다. 태백산맥(太白山脈)의 여맥인 중앙산맥(中央山脈) 중의 한 산으로, 서북쪽에 대덕산(大德山, 1,307m), .. 2013. 11. 1.
매봉산에서 바라보는 운해와 일출 풍경 1편 2013년 10월 26일 매봉산에서 바라보는 운해와 일출 풍경 1편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과 화전동에 걸쳐 있는 산으로써 "매처럼 영특하게 생겼다"하여 매봉산이라고 부른다. 높이는 1,303m이다. 태백산맥(太白山脈)의 여맥인 중앙산맥(中央山脈) 중의 한 산으로, 서북쪽에 대덕산(大德山, 1,307m), .. 2013. 11. 1.
단풍의 이름다움을 만끽할수 있는 광동호 2013년 10월 26일 단풍의 이름다움을 만끽할수 있는 광동호 광동호는 강원 삼척시 하장면 숙암리에 위치하고 있다. 피재, 검룡소, 원동골에서 발원하는 창죽천과 삼척시 하장면 번천리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합류하여 하장천을 이루며 이것은 남한강의 상류가 된다. 창죽천과 번천이 합류하.. 2013. 11. 1.
구와말 2013년 10월 24일 구와말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0~30cm이며, 전체에 털이 있고 8~9월에 붉은 자주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핀다. 열매는 둥근 모양의 삭과를 맺으며 연못이나 논의 습지에 자란다. 2013. 10. 31.
과남풀[큰용담, 칼잎용담] 2013년 10월 24일 과남풀[큰용담, 칼잎용담] 쌍떡잎식물 용담목 용담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30∼8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털이 나지 않으며 분처럼 흰빛이 돈다. 뿌리줄기는 굵고 뿌리에 달린 잎은 없다. 밑부분의 잎은 바늘 모양이거나 바소꼴 또는 넓은 바소꼴.. 2013. 10. 31.
이고들빼기 2013년 10월 24일 이고들빼기 높이 30~70cm이고 줄기는 가늘며 흔히 자주색을 띠며 윗부분에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줄기잎은 어긋나며 끝이 둔한 주걱모양으로 가장자리에 거치가 있다. 밑부분은 줄기를 조금 감싼다. 꽃은 8~9월에 피며 노란색의 설상화가 산방.. 2013. 10. 31.
바위솔 2013년 10월 24일 바위솔 높이 30cm이고 뿌리잎은 방석모양으로 납작하게 퍼져 자라며 끝이 두꺼운 가시처럼 된다. 원줄기에 잎이 달리며 잎자루가 없고 여름철에 나오는 뿌리잎과 함께 끝이 굳어지지 않고 뾰족해질 뿐이며 바소모양으로 녹색이지만 때로 자주색 또는 흰색이다. 꽃은 9월에 .. 2013. 10. 31.
감국 2013년 10월 24일 감국 높이는 1~1. 5m 이다. 전체적으로 짧은 털이 있다. 줄기는 흑갈색 또는 흑자색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흰빛의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를 하며 긴 둥근꼴 모양의 달걀꼴이고 보통 5갈래의 깃모양(羽狀)으로 갈라진다. 갈라진 잎조각은 길둥근꼴이고 잎가장자리에는 .. 2013. 10. 31.
호자덩굴 열매 2013년 10월 24일 호자덩굴 열매 상록다년초이다. 숲속에서 자란다. 옆으로 자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퍼져나간다. 잎은 마주달리고 난형이며 길이 1~1.5cm, 나비 7∼12mm이다. 잎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고 짙은 녹색이다. 꽃은 6∼7월에 피고 백색 바탕에 붉은빛이 돌며 가지 끝에 2개씩 .. 2013. 10. 31.
좀딱지와 호자덩굴 열매 2013년 10월 24일 좀딱지와 호자덩굴 열매 2013.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