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산
높이는 서봉(암마이산) 685m, 동봉(수마이산) 678m이다.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의 경계에 있으며, 동봉과 서봉의 모양이 말의 귀처럼 생겼다 하여 마이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지질은 백악기의 역암(礫岩)이다. 남쪽 비탈면에서는 섬진강 수계가 시작되고 북쪽 비탈면에서는 금강 수계가 발원한다.
신라 때는 서다산(西多山), 고려시대에는 용출산(龍出山)이라 불렸고, 조선시대부터 마이산이라 불리기 시작하였다.
동봉과 서봉 사이에 448개의 층계가 있고, 동봉 중턱의 화암굴에서는 약수가 솟는다.
산 전체가 거대한 바위인 탓에 나무는 그리 많지 않으나 군데군데 관목과 침엽수활엽수가 자란다.
4월에는 공원 입구에서 3㎞에 걸쳐 벚꽃이 만발해 진안군에서 주최하는 벚꽃축제가 열린다.
동봉은 오를 수 없다.
또 계절에 따라 불리는 이름이 다른데, 봄에는 안개 속에 우뚝 솟은 두 봉우리가 쌍돛배 같다 하여 돛대봉,
여름에는 수목 사이에서 드러난 봉우리가 용의 뿔처럼 보인다 하여 용각봉(龍角峰),
가을에는 단풍 든 모습이 말 귀처럼 보인다 해서 마이봉,
겨울에는 눈이 쌓이지 않아 먹물을 찍은 붓끝처럼 보인다 해서 문필봉(文筆峰)이라 부르기도 한다.
문화재로는 마이산탑(전북기념물 35), 마이산줄사철나무군락지(천연기념물 380)를 비롯하여 은수사(銀水寺)금당사(金塘寺) 등의 고찰이 있다.
금당사에는 괘불탱(掛佛幀:보물 1266), 목불좌상(전북유형문화재 18), 석탑(전북문화재자료 122) 등의 문화재가 있다.
1979년 10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2003년 10월 국가지정 문화재인 명승 12호로 지정되었다.
진안휴게소에서 바라본 마이산
반월제의 단풍
반월제에서 바라본 마이산
사양제에서 바라본 마이산
반월제. 사양제 2곳에는 바람이 불고 있어서 마이산을 탐방하기로 하고 마이산을 오른다.
마이산의 단풍들이 햇살에 더욱 곱게 보인다.
다람쥐가 겨울준비로 바쁜와중에 돌위에서 잠깐 쉬고있다.
은수사 및 탑사를 탐방하고 다시 북쪽에 있는 사양제로 향한다...
사양제에 도착하여 바람이 잠잠해지기만을 기다리며 이리저리 담아본다....
조금있으면 해넘이가 시작될것 같다....
야경을 담기위해서 월랑공원으로 향한다...
월랑공원에 있는 전망대이다....바로앞까지 ㅠㅠㅠㅠㅠ차로 올라갔다...
주차장에 주차하여야 하는데 말이다 ㅠㅠㅠ
월랑공원 전망대에서 바라본 마이산
마이산을 배경으로 야경을 담아본다...
너무 춥고 배가 고파서 야경담는 것을 포기하고....식당으로 고고한다......
월랑공원 전망대를 내려와서 기념으로 담아본다...
'2010년도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탑사 [塔寺] (0) | 2010.11.20 |
---|---|
은수사 [銀水寺] (0) | 2010.11.20 |
2010.11.14 세계등축제 (청계천) 03 (0) | 2010.11.20 |
2010.11.14 세계등축제 (청계천) 02 (0) | 2010.11.20 |
2010.11.14 세계등축제 (청계천) 01 (0) | 2010.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