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6.15 2차 백두산 두메애기풀
애기처럼 귀여운 반관목
과명 : Polygala sibirica L.
학명 : 원지과
식물 중에는 겉으로 보기에는 풀이지만 줄기가 아주 단단하여 나무로 분류하는 것들이 꽤 있다.
이를 초본성 반관목이라고 하는데, 애기풀도 그에 속한다. 키가 작고 꽃도 작아 귀여운 모습이다.
두메애기풀은 전체적으로 애기풀과 비슷하고 높은 산에서 자란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이다.
특히 애기풀보다 잎이 긴 것이 차이가 난다.
또 원지라는 풀과도 비슷하게 생겼는데, 두메애기풀은 봄에 꽃이 피는 반면, 원지는 7~8월에 피는 점이 다르다.
키는 20~30㎝로 전체에 가는 털이 빽빽하다.
뿌리는 가늘고 길지만 대단히 단단하고 줄기는 곧게 자란다.
잎은 어긋나며 달걀 모양 타원형이다.
잎 끝이 뾰족하고 밑은 뭉뚝하여 톱니가 없다.
꽃은 봄에 자줏빛으로 달리며 꽃대축이 길게 자라고 꽃자루도 발달하지만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핀다.
꽃대에 꼬부라진 털이 있으며 꽃부리는 나비 모양이다.
꽃받침조각은 5개인데, 양쪽 두 조각은 커서 꽃잎 모양을 이루는 것이 특이하다.
열매는 속이 여러 칸으로 나뉘고 각 칸 속에 많은 종자가 들어 있으며, 편평하고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현재 국명은 1949년 정태현에 의해 지어진 것이며, 속명인 는 그리스 어의 (많다)와 (젖)의 합성어로, 고대 의학자 가 젖의 분비를 잘한다고 생각되는 낮은 관목의 종류에 붙인 이름이다.
종명인 는 시베리아라는 뜻으로, 최초 발견지 또는 원산지를 나타낸다.
원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와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함경남도 부전고원 이북의 고산과 강원도 일원에 분포한다.
뿌리는 원지, 싹은 소초라고 하여 약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