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02일 선암사 승선교
선암사의 부도(浮屠)를 지나 경내에 이르면 시냇물을 건너야 되는데 그 건널목에 놓인 다리가 승선교이다.
시냇물의 너비가 넓은 편이라서 다리의 규모도 큰 편인데, 커다란 무지개 모양으로 아름답게 놓여있다.
기단부(基壇部)는 자연 암반이 깔려 있어 홍수에도 다리가 급류에 휩쓸릴 염려가 없는 견고한 자연 기초를 이루고 있다.
다리의 아래부분부터는 길게 다듬은 돌을 연결하여 무지개 모양의 홍예(虹霓)를 쌓았으며, 그 짜임새가 정교하여 밑에서 올려다보면 부드럽게 조각된 둥근 천장을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홍예를 중심으로 양쪽 시냇가와의 사이는 자연석을 쌓아 석벽을 이루고 그 윗부분에도 돌을 쌓았는데, 모두 주변의 냇돌을 이용하였다.
다리 한복판에는 용머리를 조각한 돌이 밑으로 삐죽 나와 있어 장식적 효과를 주고 있는데, 예로부터 이것을 뽑아내면 다리가 무너진다고 전해오고 있다.
임진왜란 이후 불에 타서 무너진 선암사를 중건할 때 이 다리를 놓은 것으로,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진다.
조선시대 숙종 24년(1698) 호암스님이 관음보살을 알현하고자 백일기도에 들어갔다.
스님은 소원한 바를 이루지 못하자 낙심하여 벼랑 밑으로 몸을 던지려 했는데, 때마침 여인 하나가 나타나 스님을 구하고 홀연히 사라졌다.
스님은 그녀가 관음보살이라 여기고 원통보전을 지어 관음보살을 모시고 절 입구에 아름다운 다리를 세우니 그것이 승선교이다.
무지개 모양으로 건설한 양식은 곧 보성 벌교 홍교(보물 제304호)와 같은데, 2개가 모두 지역적으로 가까운 곳에 있으므로 양식상 공통점이 있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다만 돌을 쓴 방식이나 마무리수법이 오래된 양식이며, 그 구조 또한 보다 웅장한 느낌을 주는 것으로 미루어 영조 때에 만들어진 벌교홍교보다 먼저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2013년도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천 송광사 [ 順天 松廣寺 ] (0) | 2013.11.06 |
---|---|
세량제 (0) | 2013.11.06 |
자주괭이밥 (흰꽃) (0) | 2013.11.06 |
사위질빵 (0) | 2013.11.06 |
구골나무 (0) | 2013.11.06 |